2022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
“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” 결과 발표
□ 고용노동부(장관 이정식)는 2022년『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』을 발표했다.
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전체 현황 |
<총괄>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644명(611건)이 발생
□ (업종별)
ㅇ 건설업은 341명(328건), 제조업은 171명(163건), 기타업종은
132명(120건) 발생하였고,
ㅇ 업종별 사고사망자 발생 비중은 건설업 53%, 제조업 27%, 기타업종 20%를 차지했다.
□ (규모별)
ㅇ 50인(억) 미만에서는 건설업은 226명(224건), 제조업은 82명(82건),
기타업종은 80명(75건) 발생하였고, 건설업 58%, 제조업 21%, 기타업종 21%를 차지했다.
ㅇ 50인(억) 이상에서는 건설업은 115명(104건), 제조업은 89명(81건),
기타업종은 52명(45건) 발생하였고, 건설업 45%, 제조업 35%, 기타업종 20%를 차지했다.
【업종·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】
(단위: 건, 명)
구분 |
전업종 |
건설업 |
제조업 |
기타업종 |
||||||||
계 |
50인(억) 미만 |
50인(억) 이상 |
계 |
50억 미만 |
50억 이상 |
계 |
50인 미만 |
50인 이상 |
계 |
50인 미만 |
50인 이상 |
|
사망사고 건수(건) |
611 |
381 |
230 |
328 |
224 |
104 |
163 |
82 |
81 |
120 |
75 |
45 |
사망자수(명) |
644 |
388 |
256 |
341 |
226 |
115 |
171 |
82 |
89 |
132 |
80 |
52 |
□ (재해유형별) 떨어짐 268명(262건), 끼임 90명(90건), 부딪힘 63명(63건) 순으로 상위 3대 유형의 사고사망자 비중이 전체의 65.4%를 차지했다.
< 주요 재해유형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떨어짐 |
끼임 |
부딪힘 |
물체에 맞음* |
깔림·뒤집힘 |
기타**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611 |
262 |
42.9 |
90 |
14.7 |
63 |
10.3 |
48 |
7.9 |
44 |
7.2 |
104 |
17.0 |
사망자수(명) |
644 |
268 |
41.6 |
90 |
14.0 |
63 |
9.8 |
49 |
7.6 |
44 |
6.8 |
130 |
20.2 |
* 물체에 맞음(예시): 천장크레인 인양 낙하물에 맞음, 기계·기구에서 날아온 파편에 맞음 등 ** 「기타」 세부 유형(예시) : 무너짐, 화재, 폭발·파열, 빠짐·익사, 감전, 질식, 유해물질 중독 등 |
□ (광역지자체별) 경기 192명(183건), 충남 59명(55건), 경남 57명(56건), 경북 42명(42건), 서울 38명(38건), 전남 36명(33건), 인천 35명(35건) 순으로 발생했다.
< 전국 17개 광역자치시도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)
구분 |
합계 |
서울 |
부산 |
대구 |
인천 |
광주 |
대전 |
세종 |
울산 |
강원 |
경기 |
충북 |
충남 |
경북 |
경남 |
전북 |
전남 |
제주 |
기타 |
사망사고 건수(건) |
611 |
38 |
29 |
20 |
35 |
7 |
8 |
2 |
17 |
33 |
183 |
27 |
55 |
42 |
56 |
18 |
33 |
7 |
1 |
사망자수(명) |
644 |
38 |
30 |
21 |
35 |
12 |
14 |
2 |
18 |
34 |
192 |
28 |
59 |
42 |
57 |
18 |
36 |
7 |
1 |
* 재해 발생 장소 기준으로 작성 |
2022년 사고사망자 업종별 세부 현황 |
1 건설업: (2022년) 341명(328건)이 발생
ㅇ (공사금액별) ?50억원 미만 현장에서 226명(66.3%), 50억원 이상 현장에서 115명(33.7%) 발생했다.
< 건설업 공사금액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1억원 미만 |
1~20억원 |
20~50억원 |
50~120억원 |
120~800억원 |
800억원 이상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328 |
80 |
24.4 |
101 |
30.8 |
43 |
13.1 |
28 |
8.5 |
40 |
12.2 |
36 |
11.0 |
사망자수(명) |
341 |
81 |
23.8 |
102 |
29.9 |
43 |
12.6 |
28 |
8.2 |
44 |
12.9 |
43 |
12.6 |
ㅇ (재해유형별) 건설업 사고사망자 341명 중 떨어짐이 204명(59.8%)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, 무너짐 25명(7.3%), 끼임 24명(7.0%), 부딪힘 23명(6.7%), 물체에 맞음 23명(6.7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상위 5대 재해유형별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떨어짐 |
무너짐 |
끼임 |
부딪힘 |
물체에 맞음 |
기타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328 |
199 |
60.7 |
18 |
5.5 |
24 |
7.3 |
23 |
7.0 |
22 |
6.7 |
42 |
12.8 |
사망자수(명) |
341 |
204 |
59.8 |
25 |
7.3 |
24 |
7.0 |
23 |
6.7 |
23 |
6.7 |
42 |
12.3 |
ㅇ (기인물별) 주요 기인물별로는 건축 ? 구조물 및 표면 208명(61.0%)으로 절반 이상 발생하였고, 운반 및 인양 설비? 기계 57명(16.7%), 건설 설비? 기계 39명(11.4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주요 기인물별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건축·구조물 및 표면 |
운반 및 인양 설비·기계 |
건설 설비·기계 |
부품, 부속물 및 재료 |
제조 및 가공 설비·기계 |
기타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328 |
200 |
61.0 |
53 |
16.2 |
38 |
11.6 |
20 |
6.1 |
7 |
2.1 |
10 |
3.0 |
사망자수(명) |
341 |
208 |
61.0 |
57 |
16.7 |
39 |
11.4 |
20 |
5.9 |
7 |
2.1 |
10 |
2.9 |
?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(교량, 터널 등)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? 양중기,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? 차량계 건설기계, 굴착 및 적재관련 기계, 터널공사 및 광산 관련 기계 등 건설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설비 ? 설비, 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, 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?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기구 및 특정한 공정에 사용된 장치 등의 설비 ? 화학물질·제품, 육상·수상·항공 등 운송수단, 휴대용공구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|
2 제조업: (2022년) 171명(163건)이 발생
ㅇ (규모별) 50인 미만 기업에서 82명(48.0%), ?50인 이상 기업에서 89명(52.0%) 발생했다.
< 제조업 기업 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5인 미만 |
5~49인 |
50~99인 |
100~299인 |
300~999인 |
1,000인 이상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63 |
15 |
9.2 |
67 |
41.1 |
16 |
9.8 |
25 |
15.3 |
16 |
9.8 |
24 |
14.7 |
사망자수(명) |
171 |
15 |
8.8 |
67 |
39.2 |
17 |
9.9 |
25 |
14.6 |
19 |
11.1 |
28 |
16.4 |
ㅇ (재해유형별) 제조업 사고사망자 171명 중 끼임이 49명(28.7%)으로
가장 많이 발생했고,
- 떨어짐 29명(17.0%), 화재·폭발·파열 22명(12.9%), 물체에 맞음 20명(11.7%), 깔림·뒤집힘 19명(11.1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상위 5대 재해유형별 제조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끼임 |
떨어짐 |
화재·폭발·파열 |
물체에 맞음 |
깔림·뒤집힘 |
기타*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63 |
49 |
30.1 |
28 |
17.2 |
17 |
10.4 |
20 |
12.3 |
19 |
11.7 |
30 |
18.4 |
사망자수(명) |
171 |
49 |
28.7 |
29 |
17.0 |
22 |
12.9 |
20 |
11.7 |
19 |
11.1 |
32 |
18.7 |
* [2명 이상 사망사고] ?1.29. 양주 채석장 무너짐 사고(3명) |
ㅇ (기인물별) 제조 및 가공설비·기계 52명(30.4%), 운반 및 인양설비·기계 44명(25.7%), 부품, 부속물 및 재료 29명(17.0%), 건축·구조물 및 표면 15명(8.8%),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3명(7.6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주요 기인물별 제조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제조 및 가공 설비·기계 |
운반 및 인양 설비·기계 |
부품, 부속물 및 재료 |
건축·구조물 및 표면 |
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|
기타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63 |
48 |
29.4 |
44 |
27.0 |
26 |
16.0 |
15 |
9.2 |
12 |
7.4 |
18 |
11.0 |
사망자수(명) |
171 |
52 |
30.4 |
44 |
25.7 |
29 |
17.0 |
15 |
8.8 |
13 |
7.6 |
18 |
10.5 |
?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기구 및 특정한 공정에 사용된 장치 등의 설비 ? 양중기,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? 설비, 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, 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?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(교량, 터널 등)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? 액체, 가스, 흄, 증기 및 고체 등 다양한 상태의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? 건설 설비·기계, 육상·수상·항공 등 운송수단, 휴대용공구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|
3 기타업종: (2022년) 132명(120건)이 발생
ㅇ (규모별) 50인 미만 기업에서 80명(60.6%),?50인 이상 기업에서 52명(39.4%) 발생했다.
< 기타업종 기업 규모별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5인 미만 |
5~49인 |
50~99인 |
100~299인 |
300~999인 |
1,000인 이상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20 |
31 |
25.8 |
44 |
36.7 |
7 |
5.8 |
5 |
4.2 |
13 |
10.8 |
20 |
16.7 |
사망자수(명) |
132 |
32 |
24.2 |
48 |
36.4 |
8 |
6.1 |
5 |
3.8 |
13 |
9.8 |
26 |
19.7 |
ㅇ (재해유형별) 기타업종 사고사망자 132명 중 떨어짐이 35명(26.5%)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,
- 부딪힘 23명(17.4%), 화재·폭발·파열 19명(14.4%), 끼임 17명(12.9%), 빠짐·익사 9명(6.8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상위 5대 재해유형별 기타업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떨어짐 |
부딪힘 |
화재·폭발·파열* |
끼임 |
빠짐·익사 |
기타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20 |
35 |
29.2 |
23 |
19.2 |
10 |
8.3 |
17 |
14.2 |
9 |
7.5 |
26 |
21.7 |
사망자수(명) |
132 |
35 |
26.5 |
23 |
17.4 |
19 |
14.4 |
17 |
12.9 |
9 |
6.8 |
29 |
22.0 |
* 9.26. 대전 소재 아울렛 화재사고(사망 7명) 포함 |
ㅇ (기인물별) 건축·구조물 및 표면 27명(20.5%), 기타 기인물 26명(19.7%), 운반 및 인양설비·기계 24명(18.2%),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3명(9.8%), 부품, 부속물 및 재료 12명(9.1%)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.
< 주요 기인물별 기타업종 사망사고 발생 현황 >
(단위: 건, 명, %)
구분 |
계 |
건축·구조물 및 표면 |
기타 기인물 |
운반 및 인양 설비·기계 |
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|
부품, 부속물 및 재료 |
기타 |
|||||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
비중 |
||
사망사고 건수(건) |
120 |
26 |
21.7 |
20 |
16.7 |
24 |
20.0 |
10 |
8.3 |
11 |
9.2 |
29 |
24.2 |
사망자수(명) |
132 |
27 |
20.5 |
26 |
19.7 |
24 |
18.2 |
13 |
9.8 |
12 |
9.1 |
30 |
22.7 |
? 완료되었거나 시공 중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(교량, 터널 등)과 공사를 위하여 설치된 가설 구조물 등 ? 기타 설비·기계, 휴대용 및 인력용기계기구, 용기, 용품, 동·식물, 자연현상 등 ? 양중기,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등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역용 운반 기계류 ? 액체?가스?흄?증기 및 고체 등 다양한 상태의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? 설비?기계기구 등의 부속물과 건축물?구조물 등의 부속물 또는 재료 등 ? 제조 및 가공 설비·기계, 건설 설비·기계, 그 외 운송수단 등 그 외 기타 기인물 |
□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
ㅇ “지난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644명의 조사대상 사망사고가 발생했고,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50인(억) 이상 규모에서 256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”라고 말했다.
ㅇ 아울러, “작년 11월 30일 정부는「중대재해 감축 로드맵」을 통해 ‘처벌과 규제’ 중심에서 ‘자기규율 예방 및 엄중 처벌’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로 발표한바,
- 사실상 로드맵 시행 원년인 금년에는 위험성평가를 중심으로 노사가 함께 스스로 위험요인을 점검·개선하는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, 산업안전 감독체계, 산업안전 컨설팅·교육, 산업안전보건법령·기준 등을 속도감 있게 개편·정비해 나갈 계획”이라고 밝혔다.
(고용노동부, 2023.01.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