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월 고용률은 63.5%, 실업률은 2.7%를 기록하며 6월 기준 역대 최고(’82.7월 이후)?최저(’99.6월 이후) 수준을 보였으며, 취업자수도 전년동월대비 33.3만명 증가하며 28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였다. 상반기 기준으로도 역대(’66년 상반기 이후) 최고 고용률(62.2%) 및 역대(’99.6월 이후) 최저 실업률(3.0%)을 기록하는 등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.
* 고용률(15세 이상, %): (‘22.6)62.9 … (’23.1)60.3 (2)61.1 (3)62.2 (4)62.7 (5)63.5 (6)63.5 <’23.1~6>62.2
실업률(15세 이상, %): (‘22.6)3.0 … (‘23.1)3.6 (2)3.1 (3)2.9 (4)2.8 (5)2.7 (6)2.7 <’23.1~6>3.0
취업자 증감(전년비, 만명): (’22.6)84.1 … (’23.1)41.1 (2)31.2 (3)46.9 (4)35.4 (5)35.1 (6)33.3 <’23.1~6>37.2
이는 돌봄수요 확대 및 일상회복 등에 따라 보건복지업 및 대면서비스업 등에서의 고용 증가와 여성·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. 다만, 건설업과 제조업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감소하며 취업자수 증가세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였다.
* 업종별 취업자 증감(전년비, 만명): [보건복지] (’23.6)12.6 <’23.1~6>17.3 [숙박음식] (’23.6)11.6 <’23.1~6>16.4
[제조업] (’23.6)△1.0 <’23.1~6>△4.3 [건설업] (’22.6)△6.2 <’23.1~6>△3.7
* 60세+ 경활률 증감(전년비, %p): (‘22.6)1.4 … (’23.1)0.6 (2)0.9 (3)1.9 (4)1.5 (5)1.0 (6)0.8 <’23.1~6>1.1
여성 경활률 증감(전년비, %p): (‘22.6)1.2 … (’23.1)1.1 (2)1.0 (3)1.4 (4)1.1 (5)1.1 (6)1.1 <’23.1~6>1.1
청년층(15~29세)의 경우 고용률(47.0%)과 실업률(6.3%)은 6월 기준 역대 2위수준이나, 기저효과(‘22.6월 +10.4만명) 및 인구감소(△17.2만명) 등에 따라 취업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(△11.7만명)하고 있다.
* 청년 고용률(%): (’23.1)46.1 … (6)47.0 <’23.1~6>46.4 / 청년 실업률(%): (’23.1)5.9 … (6)6.3 <’23.1~6>6.4
청년 취업자 증감(전년비, 만명): (’22.6)10.4 … (’23.1)△5.1 … (4)△13.7 (5)△9.9 (6)△11.7 <’23.1~6>△10.3
앞으로도 대면서비스업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, 제조업 및 건설업 고용 둔화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.
향후에도 고용 호조세가 더욱 공고화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 ?일자리 전담반(TF)?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, 하반기 경제정책방향」(7.4일),「제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」(7.12일) 등을 통해 경제활력을 제고하고,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.
(기획재정부, 2023.07.12)